
보건소에서 산전검사를 무료로 받을 수 있는 것 알고 계신가요?
단순 산전검사 뿐 아니라 가임력 검사비 지원도 받을 수 있다고 합니다.
저도 이번에 가임력 검사비 지원을 신청하게 되었는데요.
보건소 산전검사와 가임력 검사비 지원 신청 방법과 절차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산전검사란 무엇인지, 가임력 검사란 무엇인지,
가임력 검사비 지원 신청 방법과 절차는 어떻게 되는지 자세히 알아보고
마지막으로 가임력 검사비 지원 신청할 때 유의할 점도 알아보겠습니다.
1. 산전검사란?
산전검사와 가임력 검사비 지원 신청 방법과 절차를 알아보기 전에
우선 산전 검사란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산전검사란?
산전검사는 말 그대로 임신을 하기 전, 엄마와 아빠의 건강 상태를 알아보기 위한 검사에요.
보건소에서 받을 수 있는 기본 산전검사 항목은 다음과 같습니다.
흉부X선, 뇨검사 2종, AIDS, 매독, 혈액형, B형간염, 혈액검사 4종
그리고 지자체에 따라 정액검사, 난소기능검사, 갑상선 기능 검사 등 조금씩 차이가 있습니다.
산전검사는 주민등록상 거주지와 직장이 있는 보건소에서 받을 수 있다고 합니다.
그래서 산전검사를 받고싶으시다면 거주지와 직장 지역의 검사 항목을 비교해보시고
더 많은 항목을 검사해주는 곳에서 받으시면 좋을 것 같아요!



2. 가임력 검사란?
그렇다면 가임력 검사는 무엇일까요?
가임력 검사란
가임력 검사는 임신 가능 여부를 평가하는 검사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보건소에서 간단하게 검사 받을 수 있는 산전검사와는 달리
가임력 검사는 지정 병원에서 받을 수 있습니다.
다만 비용이 발생하는데, 그 비용에 대해 보건소에서 여성은 13만 원, 남성은 5만 원을 지원해줍니다.
단, 절차를 잘 지켜야 하는데요.
글을 끝까지 읽으시고 꼭 지원 잘 받으시기 바랍니다.
그렇다면 가임력 검사의 검사 항목은 무엇일까요?
여성의 경우 난소기능검사(일명, '난소나이검사')와 부인과 초음파 검사를 받을 수 있습니다.
난소기능검사를 통해 전반적인 가임력 수준을, 초음파 검사를 통해 자궁근종 등 생식건강 위험요인을 알 수 있습니다.
남성의 경우 정액검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전체 난임요인의 약 40%가 남성 생식건강과 관련된다고 하니 이와 관련된 검사를 받을 수 있습니다.
만약 가임력 우려 소견이 있을 경우 난임시술, 난자·정자 보존 등 가임력 보존 계획도 가능합니다.



3. 가임력 검사비 지원 신청 방법 및 절차
가임력 검사비는 검사 당사자가 거주하고 있는 보건소에 방문하거나 e보건소를 통해 지원 신청을 할 수 있습니다.
가임력 검사비 지원 신청은 반드시 주민등록등본에 기재된 주소지 보건소에 하셔야 합니다.
저는 간단하게 e보건소에서 신청을 했습니다.
그러면 e보건소에서 가임력 검사비 지원 신청 방법과 절차를 자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e보건소 사이트에 접속한 뒤 민원서비스 > 의료비 지원 > 임신 사전건강관리 지원으로 들어가주세요.


본인 인증을 한 뒤 의료비 지원 신청을 하시면 됩니다!
외국인의 경우 이것저것 필요한 서류가 많았는데요.
내국인의 경우 아무 서류 없이 그냥 지원 신청만 누르면 끝!!
가임력 검사비 지원 신청 방법 및 절차 엄청 간단하죠?^^
그렇게 가임력 검사비 지원 신청을 완료하시면
이런식으로 뜨는데요.

여기서 '검사의뢰서' 발급 신청을 하셔서 프린트하거나 모바일로 저장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그 가임력 검사의뢰서를 병원에 가져가셔서 검사받으시고
나중에 가임력 검사비를 청구하시면 됩니다!



4. 가임력 검사비 지원 신청 유의점
가임력 검사비 지원 신청 방법 잘 따라 오셨나요?
그런데 가임력 검사비 지원 신청하실 때 유의할 점이 있습니다.
유의점도 잘 숙지하셔서 불이익 받지 않도록 주의해주세요.
우선, 가임력 검사비 지원 신청은 본인만 가능합니다.
아내와 남편 모두 받으시는 경우
각자 따로 검사비 지원을 신청하셔야 합니다.
두번째는 가임력 검사비 지원을 받을 수 있는 기간이 정해져 있다는 것입니다.
가임력 검사비 지원 신청을 하시고 검사의뢰서를 발급 받으신 뒤 3개월 이내에
의료기관에 방문해 검사를 받으셔야 합니다.
그리고 또 검사일로부터 3개월 이내에 검사비 청구를 하셔야 합니다.
기간이 짧진 않지만 미루다가 놓치시는 일이 없도록 하시기 바랍니다.
마지막으로 반드시 사업 참여 의료기관에서 검사를 받으셔야 합니다.
의뢰서를 발급받은 뒤 아무 병원에서나 검사 받고 가임력 검사비를 청구하시면 아니되어요.
가임력 검사비를 지원 받을 수 있는 사업 참여 의료기관 명단은
e보건소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이상 가임력 검사비 지원 신청 방법과 절차, 그리고 유의점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가임력 검사비 지원 신청 잘 하시고 검사도 잘 받으셔서
임신 준비 잘 하시기 바랍니다.^^